도지정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봉국사대광명전
奉國寺大光明殿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01호
명칭(한자) 봉국사대광명전 (奉國寺大光明殿)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80-06-02
소 재 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로 79(태평동 216-2)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봉국사대광명전(奉國寺大光明殿)은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01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로 79이다.

봉국사는 영장산 기슭에 있는 절로 고려 현종 19년(1028)에 세우고, 태조 4년(1395)에 수리하였다. 현종 15년(1674) 임금은 어려서 일찍 죽은 명혜, 명선 두 공주의 명복을 빌기 위해 축존화상(竺尊和尙)에게 명하여 공주의 능 근처에 있던 이 절을 다시 짓고 이름을 봉국사라 하였다. 1924년 두창(斗昌)이 중수하였고, 1932년에는 주지 춘성(春城)이 서울 삼청동에다 이 절의 부속암자를 만들었다. 그 뒤 한국전쟁 때 퇴락되어 폐허화된 것을 1958년에 비구니 법운(法雲)이 중수하였고, 1967년에는 혜성(慧星)이 삼성각을 신축하였으며, 1969년 4월에는 요사채를 신축하였다. 1974년 완전해체 복원하였다.

대광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주심포계(柱心包系) 맞배집인데 몸체에 비하여 지붕이 커서 외관이 장중하다. 자연석 기단에 높인 고복형(鼓腹形) 초석 위에 민흘림기둥이 세워져 공포가 결구되고 오량(五梁)의 지붕 가구가 짜올려져 있다. 쇠서의 장식적인 형태, 연봉과 봉황 조각 등은 18세기 말의 수법을 보이고 있다. 원래의 지붕은 측면의 공포 배열과 귀공포 형태로 미루어 팔작 형식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단 좌우에는 사자 형태를 닮은 서수(瑞獸)가 있어 특이하다. 대광명전은 원래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법당이나 이 절에서는 내부 중앙 불단 위에 아미타불이 주존불로 봉안되어 있고 좌우협시(左右脇侍)로는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모셔져 있다.
이 불전은 기단과 초석, 지붕 등 많은 부분이 수리되었으나 조선 후기의 불전 형식을 잘 간직하고 있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 성남시청 /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1』)

[문헌목록]
『경기문화재대관-도지정편』
『내 고장 성남』
『문화재수리보고서 2000년도』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도지정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