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존과학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보존처리 – 수침목재
admin - 2013.10.26
조회 4665
보존처리 과정

수침목재란 저습지, 해수 등의 수중환경에 장시간 매장되어 외향적으로 형태가 남아 있으나 세균이나 박테리아에 의해 셀룰로오즈 조직이 붕괴되고 그 공간을 수분이 대체하고 있는 구조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의 목재를 의미한다. 발굴 · 출토과정에서 수침목제 유물이 대기 중에 노출되면 내부 수분이 급격히 증발하여 수축 및 할렬 등의 상태 변형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 유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수침목제 유물은 내부의 강도를 부여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만들어 주는 보존처리가 요구된다.

1. 유물 수습, 2. 처리 전 조사
3. Cleaning, 4. 치수안정화 처리
5. 건조처리, 6. 접합 · 복원
7. 보관 및 마무리
보존처리 사례
목제유물 보전처리 전, 목제유물 보전처리 후
목제유물 보전처리 전, 목제유물 보전처리 후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보존과학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