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학연구자료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경기마을기록사업 -대성동마을
admin - 2015.01.23
조회 4312
경기마을기록사업 -대성동마을
목차
1. 대성동의 마을환경과 역사
1-1 마을의 자연지리적 환경 12
1-2 마을의 고고역사적 환경 19
1-3 마을의 인문환경 31
1-4 문화유적과 인물 58
2. 자유의 마을, 대성동의 형성
2-1 옛 지도를 통해 본 대성동마을 100
2-2 자유의 마을이 되기까지 106
3. 주민들의 의식주생활
3-1 등걸잠뱅이와 사리마다 입고 – 의생활 133
3-2 걸어서 간 개성장 – 식생활 137
3-3 선전마을로 다시 자리잡은 가옥 – 주생활 145
4. 생업과 생활용구
4-1 주요생업활동 180
4-2 마을 속 박물관 – 생활용구들 212
5. 세시풍속과 놀이
5-1 마을의 한 해, 세시풍속 252
5-2 대성동마을 사람들의 놀이 267
6. 일생의례
6-1 혼자서 삼 가르고 – 출산 277
6-2 100사람이 나눠먹은 백설기 – 백일과 돌 281
6-3 트럭타고 온 시집 – 혼례 282
6-4 안하고 죽으면 원혼이 된다는 – 환갑 288
6-5 남은 자들의 의례 – 상장례 289
6-6 조상님께 드리는 정성 – 제례 298
7. 민속신앙과 민간의료
7-1 마을사람들의 신앙생활 308
7-2 병원이 없던 시절의 의료생활 316
8. 마을주민 생애사
8-1 마을 할아버지의 살아오신 내력 330
8-2 마을 할머니의 살아오신 내력 344
9. 마을에 전해오는 이야기
9-1 마을주민들의 기억 속 주요사건 392
9-2 마을주민들의 옛이야기 399
9-3 마을주민들의 노랫소리 419
9-4 마을주민들의 속담 421
10. 문화콘텐츠 활용프로그램
10-1. 개요 426
10-2 에코뮤지엄의 개념과 사례, 대성동 적용 방안 432
10-3 대성동 자유의 마을 전시계획 및 체험프로그램 제안 465
10-4 문화자원 활용방안 수립을 위한 사례 508
부록. 사진으로 보는 대성동마을의 과거와 현재
1. 옛 사진 속 대성동마을 544
2. 대성동마을의 현재 557
3. 대성동마을에서 564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다음 경기학연구자료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