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적용
고양봉성암전성능대사부도
高陽奉聖庵傳性能大師浮屠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88호
명칭(한자) 고양봉성암전성능대사부도 (高陽奉聖庵傳性能大師浮屠)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2003-09-08
소 재 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1-1번지(봉성암 경내)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고양 봉성암전성능대사부도(高陽奉聖庵傳性能大師浮屠)는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88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1-1번지이다.

이 석조부도는 봉성암 서편 능선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향을 고려하여 세워졌다. 기단부에서 상륜부까지 모든 부재가 완연하게 남아있으며, 옥개석 일부가 파손되기는 하였지만 보존 상태가 상당히 양호하다.
지대석은 지상으로 많이 노출되어 있으며, 4매의 긴 사각형돌을 결구하여 평면이 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부도에서 이러한 지대석 결구 수법은 조선시대에 많이 활용된 기법이다. 고려시대까지는 1매로 지대석을 마련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대석은 사각형으로 상면의 모서리 부분은 호형으로 1단의 굴곡(屈曲)을 두어 깎았다. 그리고 상면 가운데에는 원형으로 낮은 1단과 높은 1단의 중대석 괴임을 마련하였다. 중대석은 납작한 원구형으로 가운데가 볼록하다. 상대석은 팔각형으로 하부에 낮은 각형 2단의 받침을 마련하고, 그 위에 갑석과 같이 높게 단을 두고 가로로 1조의 음각선을 장식하였다. 상대석 상면에는 팔각의 탑신석 괴임을 낮게 마련하였다. 탑신석은 우주(隅柱)나 문비(門扉)없이 팔각석주형(八角石柱形)처럼 치석하였다.

옥개석은 하부에 각호각각형(角弧角角形)으로 4단의 좁은 받침과 호형(弧形)으로 넓고 높은 1단의 받침을 추가하였다. 처마의 합각부는 깊게 굴곡을 두어 낙수홈을 시공하였다. 처마부는 목조건축물의 추녀를 번안하기도 하였으며, 살짝 치켜 올려 날렵한 인상을 주도록 하였다. 낙수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내려오고, 합각부는 반원형의 높고 굵은 돋을대를 마련하여 마루부를 표현하였다. 마루끝 면에는 귀꽃을 도드라지지 않고 처마면에 고사리문이 선각(線刻)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표현하였다. 전체적으로 옥개석은 처마면이 높고 낙수면이 낮으면서 마루부를 지나치게 굵게 표현하여 둔중한 인상을 주고 있다. 또한 처마면에 선각으로 귀꽃을 새긴 수법은 간략화의 경향과 함께 조선시대 석조부도에서 많이 채용된 기법이다. 옥개석 상부에는 팔각의 받침이 있고 원형의 복발(覆鉢)과 1단의 보륜(寶輪)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수직에 가깝도록 장식된 연화문 위에 원형의 보주(寶珠)을 올려 마무리하였다. 상륜부도 1석의 부재로 마련하였고 결구와 장식 수법이 간략화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자료출처 :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1』)

[문헌목록]
『(고양시)문화재대관』
『고양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경기도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