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적용
김균선생묘
金稛先生墓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기념물 제105호
명칭(한자) 김균선생묘 (金稛先生墓)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88-03-21
소 재 지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능평리 산89-1번지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김균선생묘(金稛先生墓)는 경기도기념물 제105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광주시 오포면 능평리 산89-1이다.

조선의 개국공신인 김균(?∼1398) 선생의 묘이다. 고려 공민왕 9년(1360) 성균시에 합격하였으며 공양왕 때에 전법판서를 지냈다. 조선이 개국한 뒤 태조를 추대한 공로로 개국공신 3등 15명 중 제2인으로 정해져서 중추원 부사로 승진되고 익대개국공신(翊戴開國功臣)이라는 공신이름을 받았으며,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졌다. 벼슬은 보국숭록좌찬성(輔國崇祿左贊成)에 이르렀고, 죽은 뒤에 제숙의 시호가 내려졌다. 가족 중에 태조의 공신이 많이 배출되어 조선 건국 과정에서 중진급 정치집단을 이루었다.

묘역은 곡담으로 둘러져 있고, 봉분은 앞부분에 장대석으로 호석(護石)을 쌓아 놓았다. 봉분의 앞에는 상석과 향로석이 있고, 그 앞에 장명등이 위치한다. 상석과 장명등을 중심으로 좌우에는 문인석 2쌍, 석양(石羊)과 망주석이 1쌍씩 배치되어 있다. 석물 중 상석 · 향로석 · 장명등은 근래에 새로이 설치한 것이다. 상석의 좌측에는 묘비가 있으며, 묘역의 전방 약 80m 지점에는 신도비(神道碑)가 위치하고 있다. 신도비의 비문은 송병선(宋秉璿 : 1836~1905)이 찬(撰)하고 윤용구(尹用求 : 1853~1939)가 글을 쓰고 김영한(金寗漢)이 전액(篆額)을 써서 1905년에 건립한 것이다. 이 신도비문에 의하면, 그의 묘역이 실전(失傳)되었다가 이 묘역이 있던 고을 유수(留守)로 온 후손 김사목(金思穆 : 1740~1829)이 수소문하여 찾았다고 기록되어, 현재 묘역의 건립 시기는 18세기 후반경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묘비 역시 그 후에 건립된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2』)

[문헌목록]
『문화재안내문안집2』
『경기문화재대관-도지정편』
『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광주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