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적용
김덕함묘및신도비
金德諴墓및神道碑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기념물 제144호
명칭(한자) 김덕함묘및신도비 (金德諴墓및神道碑)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93-10-30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무건리 산1번지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김덕함묘및신도비(金德諴墓및神道碑)는 경기도기념물 제144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무건리 산1번지이다.

조선 중기의 문신 성옹(醒翁) 김덕함(1562∼1636) 선생의 묘소이다. 본관은 상산(商山), 자는 경화(景和), 호는 성옹(醒翁), 시호는 충정(忠貞)으로 이조참판을 지낸 김홍(金洪)의 아들이다. 선생은 어릴 때 부모를 잃었으나 스스로 학문에 힘써 선조 21년(1588)에 과거에 급제하였고, 임진왜란 때에는 초토사 이정임을 도와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을 조달하는 일을 맡았다.

선조 27년(1594) 군공청(軍功廳)이 세워지자 도청(都廳)이 되어 공을 세웠다. 이후 내·외직을 거쳐 광해군때 군기시정(軍器寺正)에 이르렀다. 광해군 9년(16179) 인목대비(仁穆大妃, 1584~1632)에 대한 폐모론(廢母論)이 일자 이항복(李恒福, 1556~1618), 정홍익(鄭弘翼, 1571~1626)과 함께 반대하다가 남해에 유배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집의(執義)가 되고 참의(參議)를 거쳐 부제학(副提學), 대사성(大司成), 대사간(大司諫)을 역임했다. 인조 5년(1627) 정묘호란 때에 호소사(號召使), 난이 끝난 뒤 여주목사(牧使), 춘천부사(府使) 등을 역임하고 인조 14년(1636) 청백리에 선정되고 대사헌(大司憲)에 올랐다.

묘역은 낮은 사성(沙城)으로 둘러져 있고 봉분은 단분으로 부인 경주이씨와의 합장묘이다. 봉분 우측에 구비와 신비가 세워져 있고, 봉분 앞에는 상석과 향로석이 있다. 상석 앞에는 좌우로 망주석과 문인석이 1쌍씩 배열되어 있다.

묘 아래쪽에는 신도비(神道碑, 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 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앞에 세우던 비)가 세워져 있는데, 팔작지붕형 가첨석(加檐石), 비신(碑身), 비석을 받치는 기대(基臺), 전체를 받치는 하부 구조인 대좌(臺座)가 설치되어 있다. 비문은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 찬(撰)하고, 김수항(金壽恒, 1629~1689)이 전액(篆額)을 쓰고, 증손 김유(金濡)가 글을 써서 숙종 12년(1686)에 건립한 것이다. 이 묘역은 두 번의 이장을 거쳐 현종 원년(1660)에 현 위치에 조성되었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 파주시청 /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2』)

[문헌목록]
『문화재안내문안집. 1』
『파주자랑』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경기도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