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김포 문수산성
金浦 文殊山城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국가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사적 제139호
명칭(한자) 김포 문수산성 (金浦 文殊山城)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64-08-29
소 재 지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 산36-1번지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김포 문수산성(金浦 文殊山城)은 사적 제139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 산36-1번지이다.

강화도의 갑곶진(甲串鎭)을 마주보고 있는 해발 376m의 문수산(文殊산山)의 험준한 정상부에서 서쪽의 산줄기를 따라 내려가, 문수골과 산성포의 두 계곡을 포용하여 해안 지대를 연결한 포곡식의 산성으로, 현재 해안쪽의 성벽과 문루(門樓)는 없어지고, 산등성이를 연결한 성곽의 본래의 것이 남아있다.

성이 있는 산은 비솔산(比率山) 혹은 비아산(比兒山), 통진산(通津山)이라고도 불려온 산으로 서쪽으로 강화도로 건너는 요충이었다. 고려말 몽고군은 이산에 올라 강화를 바라보고 건너려 시도하기도 하였다. 산성의 명칭은 문수사(文殊寺)에서 유래하였다. 이 산성은 갑곶진과 더불어 강화 입구를 지키기 위하여, 1964년(숙종 20)에 축성되었는데 기록에는 둘레가 5,529보이고, 여장이 2173첩(堞)에 서문, 남문, 북문이 있었으며, 강화부에 소속되어 별장 한사람과 군관 161인, 사병 56명, 돈군 6명, 수첩군 80명, 모입군 72명 등을 두어 지키고 있었다. 이후 1812년(순조 12)에 대대적으로 중수되었다. 다듬은 돌로 견고하게 쌓았고 그 뒤에 여장(女墻)을 둘렀다.

당시 성문은 취예류(取豫樓)․공해루(控海樓) 등 세 개의 문루와 세 개의 암문(暗門)이 있었다. 이 가운데 취예루는 갑곶진과 마주보는 해안에 있었으며, 강화에서 육지로 나오는 관문 구실을 하였다. 특히, 이성은 1866년(고종 3)의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과 치열한 격전을 치룬 곳으로 유명하다. 1866년 9월 7일 프랑스군의 로즈제독의 기리에르호를 기함으로 하여 포함과 해방함 및 통보함 등 7척으로 600명의 병력을 이끌고 갑곶진에 상륙하여 이튿날 강화성을 점령하고, 18일에는 이곳 문수산성으로 침입하였다.

이 때 문수산성에는 봉상시사(奉常寺事) 한성근(韓聖根)이 흥선대원군의 명령으로 광주(廣州)의 별파군 50명을 이끌고 수비하고 있었다. 프랑스군은 작은 배가 성의 남문밖에 다달아 정박하였는데, 한성근이 이끄는 우리 수비군이 프랑스군을 기습하여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결국 무기의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한성근은 후퇴하였는데, 포수 4명이 전사하고, 2명이 부상하였으며 1명이 포로로 잡혔다. 프랑스군은 2명이 전사하고 25명이 부상하는 피해는 입자 성안의 민가 29호를 불살라 버렸다. 이 격전으로 해안 가의 성벽과 문루 등의 시설이 파괴되고 성안이 유린되었다.

1995년에 일부가 조사되어 길이 16m이고 너비가 10m 규모의 치성(雉城)이 서남쪽 끝에서 확인되었고, 평탄지에서는 성벽이 내외겹축되어 있었음이 밝혀졌다.

(자료출처 : 『문화재대관-사적편(개정판,下)』)

[문헌목록]
『경기문화재대관-국가지정편』
『문화재안내문안집2』
『경기도의 성곽』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국가지정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