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남양주 봉선사 동종
南陽州 奉先寺 銅鍾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국가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보물 제397호
명칭(한자) 남양주 봉선사 동종 (南陽州 奉先寺 銅鍾)
유형분류 유물
지 정 일 1963-09-02
소 재 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 봉선사(부평리 255번지)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남양주 봉선사 동종(南陽州 奉先寺 銅鍾)은 보물 제397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이다.

남양주 봉선사 동종(南陽州 奉先寺 銅鍾)은 임진왜란 이전에 만든 것 중 몇 개 남지 않은 조선 전기의 동종으로 예종 원년(1469) 세조의 명복을 빌기 위해 봉선사를 건립할 때 만들어졌다. 높이 238㎝, 입지름 168㎝, 두께 23㎝로 꼭대기에는 용통이 없고 두 마리 용이 서로 등지고 종의 고리 구실을 하는 전형적인 조선종의 모습이다.

종의 모양을 보면 종의 어깨에는 겹연꽃잎을 돌렸으며, 위 부분에는 4개의 유곽과 원형두광(圓形頭光)을 갖춘 4구의 보살상을 교대로 배치하였다. 유곽의 주변부는 당초문으로 장식하고, 그 안에 연꽃으로 된 9개의 유두(乳頭)를 만들었다. 또한 유곽 밑과 중앙의 옆띠 사이 공간과 보살상의 위아래, 네 귀퉁이에 범자(梵字)가 4자씩 있다. 아랫부분에는 강희맹이 짓고 정난종이 글씨를 쓴 장문이 새겨져 있다. 글에는 종을 만들게 된 연유와 만드는데 관계된 사람들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어서, 대대적인 공사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또 종의 입구 위쪽으로 넓은 띠가 있는데 그 안에는 당시에 유행하던 파도치는 모양이 사실적으로 잘 표현되었다. 고려시대에 비해 종 입구가 넓어진 형태나 몸통에 있는 가로 띠와 조각수법 등은 조선시대 나타난 새로운 양상으로, 그 특징들이 잘 나타난 중요한 큰 종이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 경기문화포털)
내용 더보기
※ 아래내용 출처 : 경기문화포털

음통(音筒):동종의 꼭대기 부분에 붙어 있는 긴 원통으로 종소리의 울림을 돕는다.
유곽(乳廓):종의 유두(乳頭)를 둘러싸고 있는 사각형의 무늬 부분.
당초문(唐草文):중국 전래의 덩굴 무늬를 통틀어서 일컫는 것으로, 덩굴인 당초는 오래도록 끊이지 않고 이어지기 때문에 이 무늬는 ‘쉬지 않고 살아간다[生生不息]’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리 나라 범종의 특징
-종의 꼭대기[鐘頂]에는 1개의 원통으로 된 음통이 있으며 이는 종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다.
-종을 거는 고리인 용뉴(龍?)는 한 마리의 용으로 표현되며 좌우에 두 개의 발을 가지고 있다.
-종의 아래 부분과 윗부분에 아름다운 문양을 가진 띠(上帶와 下帶)가 있으며, 윗부분의 띠 가까이에는 4개의 유곽이 배치되고 그 내부에는 9개(3×3)의 유두가 있다.
-종의 배부분[鐘腹]에는 종의 치는 곳(당좌: 撞座)이 있고 비천상이나 보살상이 새겨져 있다.
[문헌목록]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경기도, 인천광역시』
『문화재 안내문안집1』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국가지정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