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남양주 홍릉과 유릉
南楊州 洪陵과 裕陵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국가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사적 제207호
명칭(한자) 남양주 홍릉과 유릉 (南楊州 洪陵과 裕陵)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70-05-26
소 재 지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금곡동 141-1번지)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남양주 홍릉과 유릉(南楊州 洪陵과 裕陵)은 서적 제207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이다.

홍릉은 조선 26대 고종과 그의 부인인 명성황후의 무덤이다. 고종은 재위기간 중에 외세의 침략에 대처하지 못하고, 내부에서의 정치적 변화로 인해 임오군란, 갑신정변, 을미사변 등을 겪었다. 명성황후는 을미사변 때 일본인에 의해 무참히 살해당한 비운의 왕비이다.
명성황후의 무덤은 처음에 청량리에 있었으나 풍수지리상 불길하다 하여 고종의 무덤에 합장하였다. 광무 원년(1897) 대한제국 선포로 홍릉은 지금까지의 무덤 제도와 다르게 명나라 태조 효릉의 무덤 제도를 본뜨게 되었다. 12면의 병풍석을 세우고, 면석에 꽃무늬를 새겼으며, 난간 밖으로 둘레돌과 양석을 세우지 않았다. 무덤 아래에는 정자각 대신에 앞면 5칸·옆면 4칸의 침방이 있는 집 즉, 침전을 세웠으며 문·무인석과 기린·코끼리·사자·낙타 등의 수석을 놓았다. 문·무인석은 크고 전통적인 기법으로 조각되었다.

유릉은 순종과 동비 순명효왕후, 동계비 순정효황후의 무덤이다. 조선왕조 무덤 중 한 봉우리에 3개의 방을 만든 동봉삼실릉은 유릉 뿐이다. 12면의 면석에 꽃무늬를 새긴 병풍석과 12칸의 난간석을 세웠다. 무덤 아래에는 침전이 정자각을 대신하였으며 그 아래 문·무인석, 기린, 코끼리, 사자상 등을 배치하였다.

홍릉과 유릉은 철종 이전의 무덤과 다른 형식을 취하고 있다. 고종을 황제로 칭하게 됨으로 제릉으로서의 위엄을 갖추기 위해서 석물의 규모나 종류가 달라졌으며, 임금의 침실, 제사지내는 방의 위치가 달라졌다. 2개의 무덤을 하나로 묶기위해 외곽으로 담장을 설치하였으며, 양릉 중간에 돌로 만든 연못을 두었다.

남양주 홍릉과 유릉을 조선왕릉(왕릉 40기, 원 13기 등 총 53기)은 2009년 6월 26일 제33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내용 더보기
※ 아래내용 출처 : 문화재청 / 남양주시청

능, 원, 묘의 구분

왕족의 무덤은 왕실의 위계에 따라 능, 원, 묘로 분류된다.

1. 능(陵) : 추존왕, 추존왕비를 포함한 왕과 왕비의 무덤
2. 원(園) : 왕세자와 왕세자비, 그리고 왕의 사친(私親 : 종실로서 임금의 자리에 오른 임금의 생가 어버이)의 무덤
3. 묘(墓) : 나머지 왕족, 즉 왕의 정궁의 아들, 딸인 대군과 공주, 왕의 서자, 서녀인 군과 옹주, 왕의 첩인 후궁, 귀인 등의 무덤

홍릉(洪陵)
홍릉은 조선 제26대(대한제국 제1대) 고종황제와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 閔氏)의 능이다. 고종은 1852년(철종 3) 영조의 현손 흥선군 이하응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철종(哲宗)이 후사없이 승하하자 대궐내의 어른인 헌종의 모후 조대비에 의해 익종의 양자로 삼아 익성군에 봉해지고 1863년 12월, 12세에 즉위하였으나 조대비가 수렴청정하고 흥선군을 흥선대원군으로 추상하고 국정을 총괄케하여 10여년간 섭정하였다.

대원군이 실각한 후 고종은 친정을 하자 대원군과 달리 개방정책을 취해 일본 수호조약을 맺은 후 구미 열강과도 차례로 조약을 맺어 선진문물을 받아들이려 애썼다. 그러나 재위 44년 동안 왕조의 쇠퇴기에서 내부의 세도정치와 밀려드는 제국주의 침략 세력의 틈바구니 속에서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 을미사변, 아관파천, 러일전쟁 등이 일어났으며 국권을 회복하고자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황제가 되었고 연호를 ‘광무’로 정했다. 이때 왕비를 명성황후로 추존하고 동구릉 안에 있던 숙릉을 청량리 천장산 아래로 옮기고 홍릉이라 했다.

1905년(광무 8)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었고, 강압에 의한 보호조약의 무효를 선언한 고종은 미국의 지지를 호소했으나 호응을 받지 못하였다.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되는 제2차 만국평화회의에 특사(이준열사)를 파견해 대한제국의 실정을 알려 국권을 회복하고자 했으나 일제와 영국의 방해로 무산되고 이에 대한 친일세력과 일제의 강요와 책임을 당하여 퇴위하였고, 67세로 승하하였다. 이 때 고종의 독살설이 나돌았으며 국장일인 3월1일에 거족적으로 3.1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났다.

명성황후는 여성부원군 민치록의 여식으로 1866년(고종 3) 16세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고종이 친정(親政)한 후 정치에 깊이 참여해 실권을 갖고 왕권회복과 제국의 부흥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임오군란으로 장호원으로 피신을 하는 등 순탄치 않은 정치 역정을 겪다가 1895년 8월 경복궁에서 일본 낭인들에게 시해(을미사변)를 당했다. 1897년(광무 1)에 명성황후로 추봉되었으며, 청량리 홍릉으로 천장하였다가 고종이 승하하면서 다시 홍릉으로 천장하였다. 홍릉은 기존의 왕릉제도와 달리 대한제국 선포 후 황제에 등극한 관계로 명나라 태조 효릉(孝陵)을 본 받아 황제의 능으로 조성했다. 즉 기존의 丁자각 대신 정면 5칸 측면 4칸의 ‘一’자형 침전(寢殿)을 세웠으며 그 앞에 신도 양쪽으로 거대한 문.무인석을 비롯해 기린, 코끼리, 사자, 해태, 낙타, 말 순서로 동물의 석상을 배치하였다. 문인석은 복두 대신 금관(金冠)을 쓰고 있다. 침전 뒤 곡장 안에는 능에는 호석이 없이 병풍석과 난간석을 두르고 있으며 그 앞에 상석, 그 좌우로 망주석을 놓고, 앞에 장명등을 설치하였다. 장명등은 사각실 형식의 것이나 대석은 변화를 보이고 있고, 병풍석에는 연화(蓮花)․ 목단문(牧丹文)을 조각하여 화려하다.

유릉(裕陵)
유릉은 대한제국 제2대(한국 역사상 마지막 군주) 순종황제(純宗皇帝)와 원후 순명효황후 민씨(純明孝皇后 閔氏), 계후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의 동릉3실(同陵三室)의 능이다.

순종은 고종과 명성황후의 둘째 아들로 1874년(고종 11) 창덕궁에서 태어났다. 1875년 왕세자로 책봉되고, 다시 1897년(광무 1) 황태자로 책봉, 1907년 즉위하여 연호를 융희(隆熙)라 하였다. 재위 4년 동안 일제의 간섭으로 실권 없는 황제 자리에 올랐다가 1910년 한일합방으로 조선왕조의 종막(終幕)을 고하였다. 재위기간 동안 일본에게 국정 전반에 걸쳐 간섭받았고, 차관정치의 빌미를 제공한 정미칠조약을 강제 체결하였다. 1910년 데라우치 통감은 이완용과 한일합방 조약안을 마련하고, 8월 29일 순정효황후의 숙부 윤덕영을 시켜 황제의 옥새로 날인하게 하였다. 이왕(李王)으로 강등된 순종은 창덕궁에 있다가 1926년 4월 25일 53세로 승하하였다. 순종의 장례식날 전국에서 6․10만세사건이 일어났고, 6월 11일 유릉에 안치되었다.

순명효황후는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민태호(閔台鎬)의 딸로 1882년(고종 19) 11세에 세자빈으로 책봉되고 1897년 황태자비에 책봉되었으나 순종 즉위 전인 1904년(광무 8) 33세로 승하하였다. 같은 해 11월 29일 양주군 용마산 내동 기슭(현 어린이대공원 내)에 묻히고 유강원(裕康園)이라 하였다가 순종이 승하하자 이 곳으로 이장하였다.

순정효황후는 해풍부원군(海豊府院君) 윤택영(尹澤榮)의 딸로 1894년(고종 31) 출생하여 1906년(광무 10) 13세에 황태자비에 책봉되고, 순종이 즉위하자 황후가 되었다. 1910년 국권이 강탈될 때 병풍 뒤에서 어전회의를 엿듣고 있었는데 이 때 친일파들이 순종에게 합방조인서에 날인할 것을 강요하자 옥새를 치마 속에 감추고 내놓지 않다가 결국 숙부 윤덕영에게 강제로 빼앗기기도 하였다. 일제의 강점 이후 왕비로 강등되고, 1926년 순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동생 영왕(英王)이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만년에 불교에 귀의해 불명 대지월(大地月)로 불리며 창덕궁 낙선재에서 여생을 보냈다가 1969년 승하하여 유릉에 합장되었다.

능제는 황제릉의 제도로 조성된 홍릉과 비슷하게 조영되었는데 조각상들이 홍릉에 비해 사실적이며 개성적으로 입체감을 잘 살아있으며 특히 침전 안에는 화려한 문양의 용상이 있으며 천장에는 원색의 단청이 칠해져있고 용상을 지키는 듯한 두 마리의 용이 그려져 있다.
[문헌목록]
『경기문화재대관-국가지정편』
『남양주의 능원지』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국가지정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