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적용
남한산성
南漢山城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국가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사적 제57호
명칭(한자) 남한산성 (南漢山城)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63-01-21
소 재 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산1번지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남한산성(南漢山城)은 사적 제57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산1번지이다.

북한산성과 함께 수도 한양을 지키던 조선시대의 산성이다. 남한산성은 백제, 통일신라, 고려, 조선 등 오랜 시대에 걸쳐 한강유역 및 수도에 대한 방어를 하였던 곳으로 단 한 번도 함락당한 적이 없는 천혜의 요새이다.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한산주에 주장성(晝長城), 일명 일장성(日長城)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현재의 남한산성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의 기록은 없으나 조선 『세종실록지리지』에 일장산성이라 기록되어 있다.
남한산성이 현재의 모습으로 갖춘 것은 후금의 위협이 고조되고 이괄의 난을 겪고 난 인조 2년(1624)이다.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 때 왕이 이곳으로 피신하였는데, 강화가 함락되고 양식이 부족하여 인조는 세자와 함께 성문을 열고 삼전도에서 치욕적인 항복을 하였다. 그 뒤 계속적인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전체11.7km(본성 9km, 외성 2.71km)의 남한산성은 5개의 옹성과 4대문 등이 노송군락 주변 자연경관과 함께 보존되어 있으며 특히 조선시대 인조, 숙종, 영조, 정조기의 다양한 축성기법의 표본이 잘 남아있는 곳이다.
조선시대 20여개의 행궁 중 유일하게 종묘와 사직을 갖춘 남한행궁은 국가전란시 부수도의 역할을 했으며, 왕(인조)이 실제로 가장 오래 이어한 역사적 기록이 있는 곳이다. 조선시대에는 5군영 중 하나인 수어청의 근거지이자, 광주 읍치를 관리하는 관아(행정)시설이 1917년 광주 경안동으로 이주하기 전까지 290여 년간 운영되던 조선 최대의 산악 군사·행정지역이다. 1624년(인조2년) 남한산성의 대대적 수축을 위하여 관군이외에 전국 8도에서 소집된 승군이 주둔한 8개의 사찰과 중앙지휘사찰인 개원사 등 총 10개의 사찰이 운영 되었다. 축성이후에도 효율적인 산성 수비를 위해 270여 년간 승군 제도를 유지했던 명실상부한 호국불교의 상징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이다.

남한산성은 2014년 6월 22일 제38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1번째이며, 경기도에서는 수원 화성에 이어 두 번째이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내용 더보기
※ 아래내용 출처 :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남한산성(南漢山城)은 우리나라 산성축성술(山城築城術)의 전형(典型)을 보여 주고 있다. 남한산성의 지리적인 여건을 보고 『여지도서(黎地圖書)』는 남한산성을 ‘천작지성(天作之城)’이라 하였다. 가운데는 평평하고 바깥은 험고하며 형세가 웅장하여 마치 산꼭대기에 관을 쓴 것 같은 형상(拷ㆍ峰)이라고 하였다. 『택리지(擇里志)』에서도 “남한산성은 안쪽은 낮고 얕으나 바깥쪽은 높고 험하여서 청이 처음 왔을 때 병기(兵器)라고는 날도 대지 못하였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도 성을 끝내 함락하지 못하였다. 그런데 인조(仁祖)가 성에서 내려온 것은 다만 양식이 적고 강화가 함락된 때문이었다.”고 하였다. 남한산성은 해발 500m가 넘는 험준한 자연지형을 따라 둘레 8km가 넘는 성벽을 구축하여 많은 병력으로도 쉽게 공략할 수 없는 지리적 여건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남한산성은 내부가 넓고 평탄하며, 80여 군데가 넘는 우물과 45개의 연못이 있을 정도로 수원이 풍부하여 비축된 군량미(軍糧米)만 충분하다면 수만 명의 병력도 수용이 가능할 정도이다.

구조적으로도 남한산성은 조선시대의 성곽(城郭)이 갖추어야 할 구비시설(具備施設)을 대부분 갖추고 있다. 본성(本城)외에 봉암성(峰巖城), 한봉성(汗峯城) 등 2개의 외성(外城)을 갖추고 있으며, 남쪽에는 두 개의 돈대(墩臺)가 있다. 원성에는 5개의 옹성(甕城)이 있으며, 20여 개의 포루(砲壘)를 설치하여 화포(火砲)공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성벽(城壁)에는 4대문(四大門) 외에 16개의 암문(暗門)이 있으며, 성벽 위에는 1,940여 개의 타로 구성된 여장(女墻)이 구비되고, 각 타에는 원총안(遠銃眼)과 근총안(近銃眼)이 설치되어 있다. 성벽 안쪽에는 125개에 달하는 군포가 구축되어 있었다. 군포와 군포 사이에는 90여 군데의 소금을 묻어 둔 매염처와 숯을 묻어 둔 매탄처(煤炭處)가 있었고, 성 내에는 유사시에 대비하여 충분한 식량(食糧)과 군수물자(軍需物資)가 보관되어 있었다.

남한산성의 본성은 신라 주장성(晝長城)의 성돌을 활용하여 구축되었고, 외성은 본성과 시차를 두고 구축(構築)됨으로써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각 시기의 축성기법(築城技法)을 특징적(特徵的)으로 보여 주고 있다. 산성축성기법의 교과서와 같은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 남한산성은 우리나라 성곽발달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유적(遺蹟)이다. 최근에는 각종 역사 드라마가 산성을 배경으로 촬영되고 있으며 연간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몰려드는 관광(觀光)의 명소(名所)이기도 하다.

『남한지(南漢志)』에서는 남한산성의 규모를 본성(本城) 성벽의 안 둘레는 6,290보(步)로 17리(里) 반(半)이고, 바깥 둘레는 7,295보로 20리 95보이며, 성가퀴는 1,940타, 5옹성과 16개의 암문, 125군데의 군포, 4군데의 장대(將臺)가 있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둘레를 환산하면, 한 자(尺)의 길이가 20.81cm인 주척(周尺)으로 안 둘레는 7,854m이고, 바깥둘레는 9,108m 정도이다.

성벽의 둘레를 측량(測量)하는 방법(方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성벽 외곽 기단부(基壇部)를 기준으로 하는 것과 여장 안쪽 기저부(基底部)를 중심으로 하는 것, 여장의 옥개중심선(屋蓋中心線)을 기준(基準)으로 하는 것인데 그 중 가장 보편적(普遍的)이고 무난한 기준이 여장의 옥개중심선을 따라 측정하는 방법이다. 여장 옥개중심선을 따라 측량을 실시한 결과 외성과 옹성을 제외한 원성의 규모(規模)는 둘레가 7,545m이고 성 내부의 면적(面積)은 212만 6,637㎡이다. 부속시설을 포함한 성벽의 전체 규모는 12,356km에 달한다.
[문헌목록]
『남한산성』
『경기문화재대관-국가지정편』
『광주시사』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경기도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