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적용
망이산성
望夷山城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기념물 제138호
명칭(한자) 망이산성 (望夷山城)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93-06-03
소 재 지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금산리 산48 지도로 보기
시 대 삼국시대

망이산성(望夷山城)은 경기도기념물 제138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금산리 산48번지이다.

중부 지역을 가로지르는 차령산맥 가운데에 있는 망이산성(望夷山城)은 망이산(지금의 마이산)의 산봉우리와 능선 그리고 골짜기를 감싸도록 쌓은 성이다. 포곡식 산성의 한 형태인 망이산성은 남 · 서 · 북쪽에 있는 봉우리의 경사진 면을 이용하여 쌓았으며, 성 안쪽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지대가 낮고, 풍부한 물과 넓은 공간을 갖춘 좋은 지형이다. 산성에서 바깥을 보면 망이산 언저리가 낮은 들판을 이루어서 안성 · 이천 · 음성 지역은 물론 용인 · 진천까지도 바라볼 수 있는 조망이 매우 좋은 곳이다.

토성(土城)인 내성과 석성(石城)인 외성으로 이루어진 겹성이며, 토성은 백제 때 쌓았고 석성은 통일신라 후기의 것으로 밝혀졌다. 토성은 가장 높은 남쪽의 봉우리를 에워싸고 있으며 현재 밝혀진 길이는 250m쯤 되고 북쪽에 문터로 짐작되는 자리가 있다. 특히 흙을 쌓을 때 버팀 기둥을 세우고 나무판자를 대었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석성은 능선과 봉우리의 지세를 이용하여 쌓았다. 둘레는 약 2㎞로 남북 방향이고 성벽 안쪽의 언저리에는 성 안길이 있다. 외성에서는 3곳에 걸쳐 문터가 확인된 것을 비롯하여, 산등성이 윗부분에 쌓은 치성(雉誠)이 5곳 발견되었으며 건물터도 여러 곳 확인되었다. 특히 치성은 성벽에 맞물려 쌓은 것과 덧대어 쌓은 것이 모두 발견되었다.

토성 안의 높은 곳에는 봉수터가 있는데 생김새는 직사각형이고 자기와 기와 조각이 흩어져 있다. 이 봉수는 동래 · 충주 등을 거쳐 올라오는 직봉(直烽)과, 남해 · 진주 등에서 올라오는 간봉(間烽)을 서울 남산(목멱산)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발굴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후기부터 백제 · 통일신라 · 고려 · 조선시대에 걸치는 유구(遺構)와 유물이 발굴되어 망이산성의 성격과 역할의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특히 청동기시대 후기의 사회와 초기 국가의 발달 과정을 밝히는 데 이 곳이 갖는 중요성을 잘 나타낸다.

(자료출처 :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2』)

[문헌목록]
『경기문화재대관-도지정편』
『경기도의 성곽』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경기도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