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적용
사나사원증국사석종비
舍那寺圓證國師石鐘碑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유형문화재 제73호
명칭(한자) 사나사원증국사석종비 (舍那寺圓證國師石鐘碑)
유형분류 기록유산
지 정 일 1978-10-10
소 재 지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304번지 지도로 보기
시 대 고려시대

사나사원증국사석종비(舍那寺圓證國師石鐘碑)는 경기도유형문화재 제73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304번지 사나사 이다.

사나사를 중창했던 고려 후기의 승려 원증국사(圓證國師) 보우(普愚, 1301∼1382)의 비이다. 보우의 호는 태고(太古)이며, 시호는 원증(圓證)이고, 탑호는 보월승공(寶月昇空)이다.
고려 우왕 12년(1386) 보우의 제자 달심(達心)이 세운 비로, 비문은 정도전(鄭道傳, 133~1398)이 짓고, 재림사(梓林寺)의 주지인 의문(諠聞)이 글씨를 썼다. 비 뒷면에는 비를 세울 때 도움을 준 신도들의 명단을 적었다.

이 비석은 현재 경내 함씨각과 산신각 사이의 평지에 자리하고 있다. 비좌를 따로 만들어 비를 세운 것이 아니라 자연 암반을 이용하여 위쪽을 평평하게 다듬어 그 위에 비신을 세웠다. 땅 속에 깊이 묻혀 있고 일부만 땅에서 솟은 바위는 대석과 비좌의 몫을 맡고 있다.
비신은 널리 알려진 방식과는 달리 비신의 좌우에 각각 1매의 장방형 돌기둥을 세워 비신을 감싸고 있다. 돌기둥은 화강암을 다듬어 만들었는데 비신의 양측면과 맞닿는 부분에는 비신의 두께만큼 홈을 파서 비신이 꼭 끼게 하여 지주석(支柱石)의 역할과 더불어 장식 효과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고려말에 조성된 여주 신륵사의 보제존자석종비(普濟尊者石鍾碑, 보물 제229호)와 대장각기비(大藏閣記碑, 보물 제230호)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한 시대에 유행하였던 형식적 특징을 보인다.

덮개돌 즉 개석은 1매의 돌로 만들었다. 윗면은 평평하고 아무런 새김이 없으며 측면은 갑석(甲石)처럼 수직의 굽을 돌렸고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원호(圓弧)를 이루고 있다. 아랫면 역시 평평하면서 아무런 새김이 없지만, 다만 중심부에 가늘고 긴 홈을 파서 비신의 상단과 비신을 감싼 좌우의 지주석의 정상부가 꽂히도록 마련하였다.
비신의 돌은 검은빛의 점판암이다. 전면에는 상단부분에 ‘원증국사석종명(圓證國師石鍾銘)’이란 7자가 전서체로 큼직하게 가로로 음각되어 있다. 그리고 비신에는 비신의 주연부을 따라 2줄의 음각선이 새겨져 방곽(方廓)을 이루며 그 안에 20행으로 이루어진 비문이 새겨 있다.

비신의 뒷면에는 상,하 2단으로 나누어 16행의 비문을 새기고 있는데 비의 건립에 동참한 사람들의 명단 곧 조연기(助緣記)가 그 내용을 이룬다.
비의 재질이 무른 점판암이어서 위쪽에 균열이 있고 여러 곳에 깨져 나간 부분이 있어 현재로는 비문 전체를 읽기가 어렵다. 비신의 크기는 높이가 103cm 너비 67.5cm 두께 3.8cm이다. 지주석은 높이가 109cm 너비 14cm 두께20.5cm이고 덮개돌은 가로 112cm 세로 44cm 두께 13.5cm이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 양평문화원)

[문헌목록]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1~3)』
『고려시대 금석문 탁본전-돌에 새겨진 고려시대 선사(禪師)들의 삶』
『양평군지』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경기도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