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적용
송석최명창묘역
松石 崔命昌 墓域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기념물 제178호
명칭(한자) 송석최명창묘역 (松石 崔命昌 墓域)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2002-04-08
소 재 지 경기도 양주시 평화로1429번길 186-11(덕계동 산64)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송석최명창묘역(松石 崔命昌 墓域)은 경기도기념물 제178호로 경기도 양주시 평화로1429번길 186-11이다.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중종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된 최명창(崔命昌 : 1466~1536)을 모신 유택이다. 최명창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여진(汝愼), 호는 송석거사(松石居士)이다. 1489년(성종 20년)에 진사가 되고, 1504년(연산군 10년)에는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가 되고, 그 뒤 성균관전적·응교를 역임하였다. 1519년(중종 14년)에 예조판서를 거쳐 뒤어 황해도 관찰사를 지낸 뒤 전주부윤과 원주목사가 되었다. 관직에 있었을 때는 소신껏 건의하여 그의 건의가 많이 채택되었으며, 병이 깊어지자 아들을 불러놓고 검소한 장례를 당부하였고, 항상 집이 누추하여 친구의 방을 빌려 기거하였다고 한다. 이후 그는 중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 되었다.

최명창 묘역의 봉분(封墳)은 쌍분(雙墳)으로 정부인(貞夫人) 단양우씨(丹陽禹氏)와의 합장묘(合葬墓)이다. 석물로는 묘비 2기, 상석 3기, 동자석 2기, 문인석 2기, 향로석 1기 및 계체석 등이 있다. 그리고 묘역의 좌측 30m 아래에는 신도비 1기가 세워져 있다.
최명창과 단양우씨의 봉분 앞에는 각각 1기의 묘비가 세워져 있는데 신도비문에 의하면 17년전(1520)에 죽은 부인의 묘에 1537년에 쌍분으로 합장하면서 함께 2기의 묘비를 건립한 것이다. 따라서 묘비의 재질이 같고, 규모 및 형태도 비슷하나 관석의 문양에 있어서 아주 독특한 특징이 발견되고 있다. 즉 관석의 전면은 모두 유운문(流雲紋) 속에서 한 마리의 이무기가 여의주를 물고자하는 형상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반면 관석의 후면은 최명창의 묘비의 경우 유운문에 해를 조각하였고, 단양우씨의 묘비는 유운문 속에 그믐달을 조각하여 놓음으로써 남편과 부인의 묘비에 양(陽)과 음(陰)을 묘사하여 놓은 것이다.

묘역의 좌측 약 30m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신도비는 옥개석(屋蓋石)·비신(碑身)·비대(碑臺)·대좌(臺座)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모는 총고가 310cm이다. 비문은 김안국(金安國 : 1478~1543)이 찬(撰)하고 김노(金魯 : 1498~1548)가 글을 썼으며, 임필형(任弼亨 : 1493~?)이 전액(篆額)을 하여 1537년(중종 32년)에 건립한 것이다. 비문은 비신의 전·후면에 모두 새기었는데 전액(篆額)은 ‘송석정묘갈명(松石亭墓碣銘)’이라 횡서(橫書)하였다. 그러나 비문의 서두에 비제(碑題)를 ‘유명조선국가선대부예조참판겸동지경연사오위도총부부총관최공신도비명(有明朝鮮國嘉善大夫禮曹參判兼同知經筵事五衛都摠府副摠管崔公神道碑銘)'이라 하였기 때문에 이 비를 묘갈(墓碣)이 아닌 신도비(神道碑)로 분류할 수 있다.

(자료출처 :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2』, 경기도, 2005)

[문헌목록]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1~3)』
『문화유적분포지도 -양주시-』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경기도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