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적용
이준선생묘
李準先生墓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기념물 제120호
명칭(한자) 이준선생묘 (李準先生墓)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89-12-29
소 재 지 경기도 양주시 남면 감악산로 482-13(신산리 산1-1)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이준선생묘(李準先生墓)는 경기도기념물 제120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양주시 남면 감악산로 482-13이다.

조선 중기의 문신 이준(1545∼1624)의 묘지이다. 이준은 선조 원년(1568)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한 뒤 주서(注書) · 정언(正言) · 헌납(獻納)을 거쳐 진주목사(牧使)·의주목사를 역임하였다. 선조 22년(1589) 정여립(鄭汝立 : 1546~1589)의 모반 사건이 일어나자 도승지(都承旨 )로서 죄인을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 2등에 책록되고 전성군(全城君)에 봉해졌다. 임진왜란(1592~1598)이 일어나자 운향사(運餉使)가 되어 명나라 군사의 군량미 조달 책임을 맡았으나 병으로 은퇴하였다. 그 뒤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 춘천부사(府使)를 거쳐 예조 · 병조의 참판(參判)을 지내고 선조 33년(1600) 대사간(大司諫)이 되었으나 북인(北人) 홍여순(洪汝諄 : 1547~1609)의 일파로 몰려 한때 파직되었다. 그 뒤 안동부사·경주부윤(府尹) 등의 지방관을 거쳐 광해군(光海君) 때 좌참찬(左參贊)·형조판서(判書)·공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광해군 7년(1615) 개성부유수(留守)기 되었다. 이조판서에 이르렀으나 계축옥사(癸丑獄事 : 1613)가 일어나고 인목대비(仁穆大妃 : 1584~1632) 유폐 사건(1618) 등 정사가 어지럽자 벼슬을 버리고 은퇴하였다.

묘는 남면중학교 앞에 있는 도로 왼편의 성창화성 공장의 담장을 따라 난 샛길로 약 400m쯤 올라간 지점에 위치한다. 부인의 것과 쌍분으로 되어있는 묘 앞에는 신, 구 묘비가 2기 있고 상석, 향로석 및 동자석, 문인석, 망주석 각 2기가 좌우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묘는 백색 화강암의 장대석 9매를 이용하여 원형의 호석을 둘렀으며, 크기는 높이 190cm이다.
묘 앞에 있는 원래의 비는 비좌와 비신을 갖추고 있는데, 비좌는 백색 화강암에 복련문과 당초문이 양각되어 있다. 비신은 청색의 결이 있는 유백색 대리석 재질이며 전면에 탄흔에 의한 훼손이 심하다.
묘갈은 묘역 입구의 시멘트 블록 담장 내에 남향하여 안치되어 있다. 비좌와 비신 및 옥개석을 갖추고 있는데 비좌는 백색 장방형 화강암이다. 비신은 백색의 대리석인데 전체에 비문이 있으며 글자가 뚜렷하고 상태도 양호하다. 옥개석은 팔작지붕의 형태를 띠고 있다. 묘갈은 현종 13년(1672)에 건립되었다.
사당은 태극문양이 그려진 홍살문의 솟을 대문 안에 있으며, 내부에는 문화재자료 제2호로 지정되어 있는 선생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형식의 민도리양식 건축물이다.

(자료출처 : 양주시청 및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2』, 경기도, 2005)

[문헌목록]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1~3)』
『양주시』
『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경기도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