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河南 桐寺址 五層石塔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국가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보물 제12호
명칭(한자)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河南 桐寺址 五層石塔)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63-01-21
소 재 지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466번지 지도로 보기
시 대 고려시대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河南 桐寺址 五層石塔)은 보물 제12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466번지이다.

하남시 춘궁동 동사지에 세워진 쌍탑 중의 하나이다. 원래 쌍탑 배치방식은 서로 대칭되는 건물의 배치를 선호했던 중국의 전통건축에서 비롯된 후 전래되어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채택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통일신라시대에는 불교적인 의미가 더해져 다보탑과 석가탑과 같은 명칭이 붙은 쌍탑도 등장하게 되었다.

이 석탑은 2층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거대한 일반형 석탑이다. 아래 기단의 바닥돌, 댓돌, 가운뎃돌, 덮개돌, 그리고 윗기단의 가운뎃돌 등이 여러 장의 불규칙한 석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기단부의 부재들이 일정한 규격을 보이지 않는 것은 탑을 세우는 일이 많이 보편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아랫기단에는 간단한 무늬곽이 있는 흔적이 있고 덮개돌은 넓은 편이며 윗기단의 벽면에는 모서리마다 얕게 기둥이 새겨져 있다. 윗기단 덮대돌은 4장의 판돌을 정연하게 짜맞추고 그 위로 탑신을 받고 있다.

탑신부는 1층 탑신의 몸돌이 불규칙한 5개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나 2층 이상은 하나씩의 돌로 구성되고 역시 각층의 네 모서리에는 기둥이 얕게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얕고 평평한 편이며 처마 밑에는 층단받침이 1층은 5단, 2층부터 4층까지는 4단, 5층은 3단으로 이루어졌는데 지붕돌의 규모에 따라 층단받침의 수가 줄어든 셈이다. 처마 끝의 단면은 얇으며 수평을 이루다가 추녀 끝에서는 약간 귀솟음을 하였다. 지붕 꼭대기를 장식하는 상륜부는 현재 네모진 노반만이 남아있다.

이 석탑은 구성상 불규칙적인 짜맞춤이 많으며 기둥새김이나 다듬새에서는 질박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석탑은 기본적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을 따르고 있지만 시기적으로 다소 늦은 면을 보여주고 있어, 고려 전기인 10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료출처 : 『문화재대관(보물편·석조1, 개정판)』)

[문헌목록]
『경기문화재대관-국가지정편』
『문화재안내문안집. 1』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국가지정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