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적용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華城 鳳林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국가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보물 제980호
명칭(한자)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華城 鳳林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유형분류 유물
지 정 일 1989-04-10
소 재 지 경기도 화성시 주석로80번길 139 지도로 보기
시 대 고려시대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華城 鳳林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보물 제980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주석로80번길 139(북양리 642번지) 봉림사 이다.

봉림사 법당 내에 봉인되어 있는 높이 88.5㎝의 목조여래좌상이다. 1978년 불상의 개금(改金)시 발견된 조상(造像)에 관한 기록을 보면 고려 공민왕(恭愍王) 11년(1362)을 하한으로 조성된 것임이 밝혀졌다.

나발(螺髮)의 머리에는 둥근 육계(肉髻)가 솟았고, 이마에는 백호(白毫)가 표현되어 있다. 상호(相好)는 단아하고 엄숙한 모습을 취하고 있는데, 긴 눈썹과 반개한 눈, 오똑한 코, 입술이 묘사되었다. 양 귀는 길게 늘어졌고 목에는 삼도(三道)가 표현되어 있다.

법의(法衣)는 통견(通肩)으로 가슴의 전면을 드러내고, 양 어깨로부터 팔로 이어져 자연스레 무릎으로 흐르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에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잡고, 왼손은 복부에서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는 점으로 보아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결한 것으로 보인다. 가부좌를 튼 무릎에는 5줄의 의문(衣文)과 함께 왼팔에서 흐른 옷주름이 무릎으로 이어지고 있다. 단정하면서도 장대한 체구는 앞으로 약간 숙인 상태로 무릎이 직각으로 처리되어 안정감 있는 구도를 보이고 있다.

(자료출처: 『경기문화재총람-국가지정편2』)

[문헌목록]
『경기문화재대관-국가지정편』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경기도, 인천광역시』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경기도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