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존과학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보존처리 – 금속
admin - 2013.10.26
조회 4320
보존처리 과정

금속은 안정한 상태의 광석을 제련하여 얻는 것으로 고대로부터 철, 구리, 주석, 은, 금 등의 순물질 또는 합금 형태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한 화합물로 돌아가려는 부식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유물은 원형을 잃게 된다. 금속유물의 보존처리는 부식으로 훼손된 유물에 과학적인 보존처리를 실시하여 부식을 억제하고 유물의 원형을 회복하는데 목적이 있다.

1. 유뮬 수습, 2. 처리 전 조사
3. Cleaning, 4. 안정화처리
5. 건조처리, 6. 강화처리
7. 접합 및 복원, 8. 보관 및 마무리
보존처리 사례
청동거울 보존처리 전, 청동거울 보존처리 후
청동접시 보존처리 전, 청동접시ㅣ 보존처리 후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보존과학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