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존과학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자연과학적 분석 – 미세구조 분석
admin - 2013.10.26
조회 4072
미세구조 분석
연구소 연구소
금속유물 미세구조 관찰

금속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알맞은 합금 비율의 금속을 용융하여 거푸집에 부어 굳히거나 중간 형태의 금속제품에서 최종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하는데 제련과정과 가공 방법, 합금비율 등 제작기법에 따라 고유의 미세조직이 생성된다. 토기ㆍ도자기 또한 수비된 태토를 성형하여 번조 하는데 태토의 종류와 번조 방법, 소성 온도에 따라 고유의 미세조직이 생성된다. 따라서 유물의 시료를 채취하고 재질별 알맞은 전처리를 실시한후 고배율 금속현미경으로 조직을 관찰하면 제작기법을 추적할 수 있다. 채취된 미량의 시료는 에폭시 수지로 고정(Mounting)시키고 정밀 시료 연마기를 이용해 연마(Polishing)한다.

연마된 시편은 적절한 부식액으로 부식(Etching)시킨 후 X50~X1600까지 금속현미경의 배율을 확대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한다.

금속현미경 X 100 - 청동 접시 저부 미세구조, 금속현미경 X 100 - 철제 환두대도 날부분 미세구조
연구소
목제유물 수종분석

목재를 구성하는 여러 종류의 세포는 모양과 크기가 서로 달라 해부학적으로 쉽게 구별된다.

따라서 발굴 출토 목제유물의 수종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당시 생활상과 자연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수종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보존처리 방법을 계획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소나무 횡단면 미세구조, 소나무 방사단면 미세구조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보존과학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