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정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남양향교
南陽鄕校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문화재자료 제34호
명칭(한자) 남양향교 (南陽鄕校)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83-09-19
소 재 지 경기도 화성시 글판동길15번길 18-3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남양향교(南陽鄕校)는 경기도문화재자료 제34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글판동길15번길 18-3(남양동 335번지)이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남양향교는 조선 초기인 태조(太祖) 6년(1397)에 음덕리 면역곡동에 처음 세웠다고 하며 고종(高宗) 10년(1873)에 이 곳으로 옮겨 왔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들은 이 때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비봉산 남쪽의 국사봉 오른편에 비교적 급한 경사지에 자리잡았다. 터를 지형 조건에 맞추어 상하 두 단으로 크게 나누고 좌우로 길게 조성하였다. 각각의 건물은 대성전(大成殿) 구역을 위쪽에 두고 명륜당(明倫堂) 구역을 아래쪽에 두어 수직적 위계를 지키면서도 전면이 폐쇄되지 않도록 좌우로 축을 비켜 배치함으로써 대지 조건과 적절한 조화를 이루었다. 이와 함께 명륜당 구역에서는 외삼문을 오른쪽으로 조금 치우치게 놓고 서재(西齋)를 명륜당에서 띄어 놓으면서 동재(東齋)는 명륜당 가깝게 붙여 놓아 자연스럽게 내삼문으로 움직임을 유도하였다.

건물 배치는 전학후묘의 형태로 앞쪽에는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동재·서재가 있고, 뒤쪽으로 제사 공간인 대성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외 출입구 구실을 하는 내삼문·외삼문, 제사를 준비하는 수복실 등이 있다. 이전할 당시에는 대성전, 동·서무(廡), 동·서재, 내·외삼문, 명륜당, 수복실, 홍살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하나 동·서무, 명륜당 등이 멸실되었다가 1989년에 명륜당만 중건되었다.

명륜당은 객사처럼 좌우에 날개채를 붙인 평면으로 구성되어 매우 독특하다. 명륜당은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이며, 동재와 서재는 기숙사이다.
대성전에는 공자(孔子)를 비롯한 5성(聖) 외에 우리나라의 18현(賢)을 모시고 매년 8월 27일에 제사를 올린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1』)

[문헌목록]
『경기문화재대관-도지정편』
『화성시 문화재 편람』
『문화재안내문안집. 2』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도지정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