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정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용주사대웅보전
龍珠寺大雄寶殿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문화재자료 제35호
명칭(한자) 용주사대웅보전 (龍珠寺大雄寶殿)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83-09-19
소 재 지 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용주사대웅보전(龍珠寺大雄寶殿)은 경기도문화재자료 제35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송산동 188번지) 용주사 이다.

용주사는 사도세자(思悼世子 : 1735~1762)의 묘가 화산(花山)으로 옮겨진 다음 해인 정조(正祖) 14년(1790)에 화산의 오른쪽 자락인 성황산(城隍山) 아래에 능을 수호하고 명복을 빌어 주기 위해 창건되었다. 원래 이 자리는 통일신라 때인 문성왕(文聖王) 16년(854)에 창건되어 고려 광종(光宗) 3년(952)에 소실된 갈양사(葛陽寺)의 옛터였다고 전한다.

전체적인 배치는 대칭적이고 폐쇄적으로 구성되었다. 좌우로 7칸의 행랑을 둔 솟을삼문이 전면을 가로막고 있으며, 이 문을 통과하면 다시 누각과 좌우의 요사채가 막아선다. 전면으로 돌출된 전면 5칸의 천보루(天保樓)와 전면 쪽으로 두 개씩 구성된 좌우 요사채의 합각지붕이 매우 강렬하고 위압적인 느낌을 갖도록 한다. 대웅전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천보루 아래를 통과해야 하는데, 뒤쪽으로 가운데 3칸에만 계단을 만들고 좌우에는 요사채 기단을 연속시켜 대웅전 마당과 같은 높이의 축대를 쌓아 매우 폐쇄적인 느낌을 준다. 누하주(樓下柱)를 사각형 돌기둥으로 만들어 이러한 느낌을 더욱 강하게 하고 있다.

대웅보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팔작집이다. 지형 차를 이용하여 장대석(長臺石) 축대를 쌓고 그 위에 대웅보전을 놓아 돋보이도록 의도했다. 공포는 외3출목, 내4출목으로 구성되고 전면 어칸 좌우 기둥에는 용 머리를 두었으며, 내부에는 각종 장엄물을 베풀어 내·외부가 대단히 화려하게 장식된 건물이다. 기단은 장대석을 사용하였는데 지형 차를 고려하여 전면에는 두벌대, 후면에는 외벌대로 구성하고 처마의 네 귀에는 활주(活柱)를 세웠다.

(자료출처 :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1』)
내용 더보기
※ 아래내용은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홈페이지)

용주사(龍珠寺)

경기도 화성시 태안읍 송산동 화산(花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이다. 854년(문성왕 16)에 창건하여 952년(광종 3)에 소실된 갈양사(葛陽寺)의 옛터에 창건된 사찰이다.

1790년(정조 14)에 사일(獅馹)이 팔도도화주(八道都化主)가 되어 철학(哲學) 등과 함께 팔도 관민의 시전(施錢) 8만7000여 냥을 거두어 갈양사 옛터에 145칸의 사찰을 창건하였다. 이 절은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인 현륭원(顯隆園)에 명복을 빌어 주는 능사(陵寺)로 창건되었다. 창건과 동시에 이 절은 전국 5규정소(糾正所)의 하나가 되어 승풍(僧風)을 규정하였다. 그 뒤 1900년에 용해(龍海)가 중수하였고, 1911년에는 31본산의 하나가 되어 수원·안성·남양·죽산·진위·음죽·용인·고양·시흥 등에 있는 49개 사찰을 관장하였다.

1931년에 강대련(姜大蓮)이 중수하였고, 1955년 사찰 정화 뒤에 조계종 제2교구 본사가 되었다. 같은 해에 관응(觀應)이 불교 전문강원을 개설하였으며, 1965년 대웅보전을 중수하였다. 1966년 주지 희섭(喜燮)이 동국역경원(東國譯經院)의 역장(譯場)을 두었고, 1969년전강(田岡)이 중앙선원(中央禪院)을 설립하여 1975년 지장전을 중수하고, 1977년 일주문을 세웠으며, 1981년 3층의 부모은중경탑을 세웠다. 1985년 불음각(佛音閣), 1986년 중앙선원 건물을 지었다. 1987년 대웅보전을 중수하고, 1988년 호성각을 지었다. 1993년 천불전을 짓고 만수리실을 개축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1790년에 건립한 대웅보전(大雄寶殿)이 경기도문화재자료 제3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지장전(地藏殿)·시방칠등각(十方七燈閣)·범종각·법고각(法鼓閣)·봉향각(奉香閣)과 경기도문화재자료 제36호인 천보루(天保樓)·나유타료(那由他寮)·만수리실(曼殊利室)·삼문각(三門閣)·일주문·수각(水閣)·동별당(東別堂) 등이 있다. 또 문화재로는 국보 제120호인 범종과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1호인 금동향로,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2호인 청동향로, 경기도유형문화대 제13호인 상량문,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4호인 전적수사본(典籍手寫本),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5호인 병풍,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6호인 대웅전 후불탱화,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7호인 동판·석판·목판의 불설부모은중경판(佛說父母恩重經板) 등이 있다.
[문헌목록]
『한국의 사찰벽화 : 인천광역시․경기도․강원도』
『경기문화재대관-도지정편』
『문화재안내문안집. 2』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도지정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