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적용
안성객사
安城客舍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54호
명칭(한자) 안성객사 (安城客舍)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95-08-07
소 재 지 경기도 안성시 안성시 보개면 종합운동장로 203(양복리 238-1)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안성객사(安城客舍)는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54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안성시 안성시 보개면 종합운동장로 203(양복리 238-1번지)이다.

객사는 조선시대 지방 관아건물로 고을 수령이 임금의 위패를 모시고 예를 올리는 정청과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이 머물렀던 좌우 익실로 구성되어 있다.
기록이 없어 확실하지 않으나 안성 객사는 고려 초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붕 위에 명문(銘文) 망와가 남아 있어 조선 숙종(肅宗) 21년(1695)에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 읍내의 관아 주변에 있었다고 하는데 일세시대에 명륜여자 중학교로 이건되었다가 1995년에 해체 수리되어 현 위치로 이건되었다.

정전(正殿)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주심포계(柱心包系) 맞배집인 정청(正廳)이 중앙에 있고 좌우에 정면 2칸, 측면 2칸의 익공계(翼工系) 팔작집이 날개처럼 덧붙여진 형식이다. 정청은 곡선 굽을 가진 주두(柱頭), 헛첨차와 사다리꼴 보 머리, 항아리형 단면의 보 등 고려 주심포계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기둥 높이에 비하여 기둥 사이의 거리가 좁으며 기둥에도 배흘림 기법이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 이는 해체 수리시 조사 결과, 일제 때 이건되면서 기둥의 아랫부분이 잘려 나가고 기둥 간의 거리도 축소된 데에서 비롯된 현상임이 밝혀졌다.
안성 객사는 우리나라에서 몇 동 남아 있지 않은 고려 주심포계 건축이라는 점에서 건축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1』)

[문헌목록]
『경기문화재대관-도지정편 』
『문화재안내문안집』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경기도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