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적용
이세화선생묘
李世華先生墓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기념물 제60호
명칭(한자) 이세화선생묘 (李世華先生墓)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81-04-17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장승배기로61번길 52-27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이세화선생묘(李世華先生墓)는 경기도기념물 제60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장승배기로61번길 52-27이다.

조선 숙종 때의 문신이자 청백리의 한 사람이던 쌍백당(雙栢堂) 이세화(1630∼1701) 선생의 묘소이다. 본관은 부평(富平), 자는 군실(君實), 호는 쌍백당(雙栢堂),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병조정랑 계록(繼祿)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통덕랑 이재(以載)이다. 큰아버지 장릉참봉 희재(熙載)의 양자로 들어갔다. 효종 8년(1657)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正言) · 장령(掌令) 등을 거쳐 평안도, 황해도, 전라도 관찰사를 지냈다.

숙종 15년(1689)에 인현왕후를 폐(廢)한다는 소식을 듣고 상소를 올려 반대를 하다가 정주로 유배되었다. 숙종 20년(1694) 갑술환국 후 대사간(大司諫), 호조판서(戶曹判書)에 제수된 것은 거절하였으나, 뒤에 인현왕후의 복위 문제를 맡으며 다시 조정에 올라왔다. 그 뒤 의금부사(義禁府事) 겸 지경연사(知經筵事), 세자빈객(世子賓客)에 오르고 청백리로 선정되었다. 이후 공조, 형조, 병조, 예조, 이조판서를 두루 역임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재임시 세상을 떠났다. 이에 조정에서는 충신의 상징인 정문(旌門)을 고향에 세우고 영의정의 관직을 내렸다. 저서로는 『쌍백당집』이 있고 풍계(豊溪)의 충렬사(忠烈祠)에 제향되었다. 한편 그는 현종(顯宗) 13년(1672) 남한산성내에 식수(食水)를 보관하였다가 전시에 사용하려고 지수당(池水堂)을 건립하고 못을 팠다.

묘역은 사성(沙城)으로 둘러져 있고, 묘는 부인 순창 설시와 합장하여 2개가 나란히 놓여 있다. 봉분의 중앙 앞에는 묘비, 상석, 향로석이 서로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그 아래 좌우에 망주석과 문인석이 한 쌍씩 놓여 있다. 묘소의 진입로에는 신도비(神道碑, 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운 비)가 있는데 팔작지붕형 가첨석(加檐石), 비신(碑身), 기대(基臺)로 구성되어 있다. 비문은 남구만이 글을 짓고 오태주가 글씨를 썼으며, 최석정이 머리글을 써서 숙종 34년(1708)에 건립한 것이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 파주시청 / 경기문화포털 /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2』)

[문헌목록]
『경기문화재대관-도지정편』
『문화재안내문안집. 1』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경기도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