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윤계선생순절비
尹棨先生殉節碑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유형문화재 제85호
명칭(한자) 윤계선생순절비 (尹棨先生殉節碑)
유형분류 기록유산
지 정 일 1979-09-03
소 재 지 경기도 화성시 남양동 1392-1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윤계선생순절비(尹棨先生殉節碑)는 경기도유형문화재 제85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동 1392-1번지이다.

조선 후기의 명신 신백(信伯) 윤계(1583~1636)의 순절을 기린 비이다.
윤계는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인 임계(林溪) 윤집(尹集 : 1606~1637)의 형으로, 남양부사(南陽府使) 재임시 충청도 보은에 용무가 있어 갔다가 병자호란(1636~1637)의 소식을 듣고 급히 돌아와 군비를 정비하려 했으나 적의 기습을 받아 잡혀가 끝까지 항거하다 참살되었다. 이에 조정에서 그를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추증하고 충간(忠簡)이란 시호를 내렸다.
현종 9년(1668)에 세웠으며 비신(碑身)은 연꽃무늬를 새긴 대석 위에 세워져 있다. 비문은 우의정 송시열(宋時烈 : 1607~1689)이 짓고 좌참찬(左參贊) 송준길(宋浚吉 : 1606~1672)이 썼으며 두전(頭篆)은 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 민유중(閔維重 : 1630~1687)이 썼다.

(자료출처 :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1』)
내용 더보기
※ 아래내용 출처 : 경기문화포털

조선 시대 문신으로 병자호란 때 순절한 남양부사 신백 윤계(信伯 尹棨, 1585∼1636)의 순절을 기린 추모비이다. 윤계는 병자호란의 삼학사의 한 사람인 윤집의 친형이다. 인조 2년(1624) 과거에 합격하고, 1627년 정묘호란 때 상소하여 척화를 주장하였다. 그후 이조좌랑을 거쳐 1636년에 남양부사가 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 청병이 남한산성을 포위하고 인근의 고을을 약탈하며 남양에 침입하였을 때 윤계는 군사를 모집하여 남한산성을 향했으나 패하여 포로가 되어 꿇어앉도록 강요당하였다.
그러나 윤계는 “머리를 잘리는 한이 있어도 무릎은 꿇을 수 없다”고 하여 혀가 잘려져 순국하였다.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이 순절비의 모양을 보면 윗부분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고 비 갓이 없다. 근래까지 비각이 있었던 듯 비문의 글자가 오랜 세월을 경과하였음에도 선명하며 마멸이 심하지 않다. 전액은 인형왕후의 아버지인 민유중이 썼으며 비문은 송시열이 짓고 글씨는 송준길이 썼다.
[문헌목록]
『경기문화재대관-도지정편』
『화성시 문화재 편람』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국가지정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