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적용
취몽헌오태주묘역
醉夢軒吳泰周墓域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도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경기도기념물 제186호
명칭(한자) 취몽헌오태주묘역 (醉夢軒吳泰周墓域)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2003-04-21
소 재 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대촌길 12-3(사사동 산48)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취몽헌오태주묘역(醉夢軒吳泰周墓域)은 경기도기념물 제186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대촌길 12-3(사사동 산48번지)이다.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인 오태주(吳泰周 : 1668~1716)와 그의 부인 명안공주(明安公主 : 1665~1687)를 모신 합장묘의 유택이다. 오태주의 본관은 해주(海州)이며 자는 도장(道長), 호는 취몽헌(醉夢軒)이다. 판서 두인(斗寅 : 1624~1689)의 아들로서 현종의 셋째 딸이자 숙종의 누이동생인 명안공주와 결혼하여, 1679년(숙종 5년) 해창위(海昌尉)에 봉해졌다.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묘역은 3기의 봉분이 있는데 중앙에 오태주와 명안공주의 합장묘가 있고, 그 위로 오태주의 어머니인 정경부인(貞敬夫人) 상주황씨(尙州黃氏)의 묘역, 그리고 아래로는 오태주의 아들인 오원(吳瑗 : 1700~1740)의 묘역이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오태주 묘역의 봉분은 단분(單墳)으로 부인 명안공주와의 합장묘이다. 묘역의 석물로는 묘갈(墓碣) 1기, 숙종어제치제문비(肅宗御製致祭文碑) 1기, 장명등 1기, 상석 · 향로석 각 1기, 망주석 2기, 문인석 2기가 있다. 봉분 좌측의 묘갈은 팔작지붕형 옥개석(屋蓋石), 비신(碑身), 기대(基臺)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의 비양(碑陽)에는 3행으로 ‘선국왕녀 명안공주지묘(鮮國王女明安公主之墓) / 수록대부해창위겸오위도총(綏祿大夫海昌尉兼五衛都總) / 부도총관오공태주도장지묘(府都摠管吳公泰周道長之墓)’라 새겨져 있다.
묘갈문은 비의의 좌우측면 및 비음(碑陰)에 모두 기록을 새기고 있다. 묘갈문에 의하여 이 묘갈의 건립과정을 분석해 보면 이 묘비의 건립연대는 1688년이 되지만 1720년경에 모든 비문이 완성되었던 묘갈이다.

봉분 우측에는 숙종(肅宗)이 명안공주의 죽음을 슬퍼하며 지은 제문(祭文)과 오태주가 죽었을 때 지은 제문을 기록한 숙종어제치제문비(肅宗御製致祭文碑)가 세워져 있다.
장명등은 묘역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옥개석과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의 화창(火窓) 부분은 말각(沫角)으로 처리해 장식성을 더했으며, 상대석, 중대석, 하대석과의 연결부위에 연판문으로 연결하고, 상대석과 중대석의 사면에 모란문을 조각하였고, 하대석에는 가구의 운각(雲脚)을 새기는 등 장식성이 뛰어난 작품이다. 문인석은 양관조복(梁冠朝服)에 홀(忽)을 들고 있는 형상으로, 양관은 삼량관으로 묘사되어 있고, 홀을 잡은 손가락에 손톱까지 묘사하였으며, 전면과 후면의 상(裳)에는 여의운문(如意雲紋)을 조각하는 등 장식성이 뛰어난 작품이다. 망주석은 팔각으로 역시 장식성이 띄어나며 특히 기둥에 좌우 모두 올라가는 형상으로 조각된 동물 모양이 특색이 있다.

(자료출처 :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 경기도, 2005)

[문헌목록]
『경기문화재총람-도지정편(1~3)』
『경기 묘제 석조 미술 下』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경기도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