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 문화재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화성정용채가옥
華城鄭用采家屋
한자이름, 종목 및 지정번호, 지정일, 소재지, 시대로 구성된 표입니다.
지정구분 국가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중요민속문화재 제124호
명칭(한자) 화성정용채가옥 (華城鄭用采家屋)
유형분류 유적건조물
지 정 일 1984-01-14
소 재 지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 109 지도로 보기
시 대 조선시대

화성정용채가옥(華城 鄭用采家屋)은 중요민속문화재 제124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오얏리길 44-10(궁평리 109번지)이다.

조선 말기에 지어진 살림집으로 안채·사랑채·대문채·행랑채 등이 모두 갖춰진 50여 칸 규모의 대가이며, 통칭 월(月)자형이라 부르는 배치를 보여주는 집이다. 대문칸은 상량문에 의하면 고종(高宗) 24년(1887)에 세워졌으며, 안채는 이보다 앞선 19세기 초엽에 세워진 것으로 전한다. 나지막한 동산이 삼태기처럼 감싼 자리에 동향으로 길게 놓여 앞쪽으로 논밭을 두고 그 너머로 노적가리 모양의 안산(案山)을 두었다. 큰길에서 대문채가 있는 북쪽으로 진입하도록 유도되어 전체 규모에 비해 작게 느껴진다.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사랑채와 안채가 남북으로 길게 놓이고 북측의 대문채와 연결된 행랑채가 동쪽을 길게 가로막아 대문으로부터 사랑마당, 안마당, 뒷마당이 차례로 놓였다. 사랑마당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사랑채 전면 4칸에 걸친 툇마루와 함께 활달한 공간감을 형성하고 있다. 사랑채의 남쪽 2칸은 방으로 꾸몄는데, 뒤쪽으로 눈에 띄지 않게 복도를 두어 안채 대청과 연결되도록 하였다.

외견상 내외를 명확하게 구분하면서도 일상 생활의 편리함을 꾀했음을 알 수 있다. 안채는 형으로 구성되었는데 햇빛을 고려해 날개채에 남향받이로 방을 두었고, 앞뒤로 긴 마당의 폭에 맞추어 가운데 3칸을 모두 대청으로 만들고 행랑채가 맞닿는 부분에는 각각 중문(中門)을 두어 폐쇄성이 매우 높다. 안마당이 이렇게 폐쇄적으로 꾸며짐으로써 대부분의 안살림 기능은 뒷마당 쪽으로 배치되었다.

즉 안대청과 연속하여 2칸을 덧달아 방을 꾸미고, 남측 날개채에도 뒷마당 쪽으로 퇴(退)를 두어 공간 및 기능상의 요구를 충족시켰다. 이렇게 함으로써 채마밭과 우물, 장독대 등이 있는 뒷마당에서 대부분의 안살림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주변의 지형을 고려한 배치상의 특징이 두드러지며, 평면 구성에 있어서는 각 채별로 뚜렷하게 드러난 공간적 성격과 실질적인 쓰임새에 대한 면밀한 배려가 돋보이는 집이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자료출처 : 『경기문화재총람-국가지정편1』)

[문헌목록]
『경기문화재대관-국가지정편』
『화성시 문화재 편람』
※ 문화재를 보고 묘사하는 단어, 떠오르는 인상이나 느낌 등을 한 두 단어로 입력해보세요.
※ 여러분과 같거나 다른 생각들을 확인해보세요.
이전 다음 국가지정 문화재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